1.5 14

Android XML naming convention

개발 공부를 하다보면 네이밍 컨벤션이 얼마나 중요한지 느낄 수 있다. Android는 사용하는 파일이 많아서 각각의 파일마다 알맞은 네이밍 컨벤션을 사용해야 하는데 그중에서도 XML의 네이밍 컨벤션이 어떤것인지 정리해보았다! 기초 규칙 ___ 리소스가 무엇을 나타내는지, 표준 Android 뷰 클래스를 나타낸다. 앱에서 논리적으로 속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여러 화면에서 사용되는 경우 all, 아닌 경우 자신이 속한 뷰의 하위 클래스를 나타낸다. 화면에서 차별화되는 요소를 나타낸다 크기 또는 크기 버킷을 나타낸다. https://jeroenmols.com/blog/2016/03/07/resourcenaming/ A successful XML naming convention Do you remember th..

1.5/Android 2021.06.18

scrollview setOnScrollChangeListener을 활용하여 view 나타나게 하기

제목이 넘 길다. binding.mainDrawerIcl.mainFab.alpha = 0f binding.mainDrawerIcl.mainScrollview.setOnScrollChangeListener(mScrollViewListener) private val mScrollViewListener = object : NestedScrollView.OnScrollChangeListener{ override fun onScrollChange(v: NestedScrollView?, scrollX: Int, scrollY: Int, oldScrollX: Int, oldScrollY: Int) { binding.mainDrawerIcl.mainFab.alpha = getAlpahForFloatingButton(s..

1.5/Android 2021.05.04

android view visibility animation

개발을 하다보면 시각적인 효과를 위해 animation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 보통은 anim directory에 animation xml 파일을 만들고 startAnimation을 통해 적용하는데... 이걸 자동으로 Animation 효과를 넣어줄 수 있다.. android:animateLayoutChanges="true" 적용시켜줄 View의 부모 레이아웃에 넣어주면 알아서 animation 효과를 넣어준다. 예를 들어, view를 감추고 보여줄때 자연스럽게 위아래로 스르륵 (?) 효과를 넣어주고 싶을 때가 있다. 그럴때 사용하면 아주 좋다. 하지만 이런 리스트 형태의 뷰를 나열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도 자연스럽게 드르륵(?) 효과를 주고싶은데 여기서 효과를 주면 이렇게 어색하게 된다... ..

1.5/Android 2021.04.11

Fragment에서 BottomNavigationView 이동하기

간단하다. BottomNavigationView를 선택해주고 fragment를 변경해주기만 하면 끝. (activity as MainActivity).{bottomnavigationview}.menu.findItem(R.id.{해당 매뉴 아이디}).setChecked(true) (activity as MainActivity).supportFragmentManager .beginTransaction() .replace(R.id.{frameviewId}, {이동할 fragment}) .commitAllowingStateLoss() 참고 stackoverflow.com/questions/53406818/how-to-get-selecteditemid-of-bottomnavigationview-in-android..

1.5/Android 2021.04.11

m1에서 React Native 설치

m1에서 ReactNative를 설치해보고자 했다. dev-yakuza.posstree.com/ko/react-native/install-on-mac/ 맥(Mac)에 react native 개발 환경 구축하기 react-native로 앱을 개발하기 위해 맥(Mac)에 개발 환경을 구축해 보고, react-native로 생성한 프로젝트가 잘 동작하는지 확인해 봅니다. dev-yakuza.posstree.com 위 링크에 환경 구축하는 방법이 아주 잘나와있다. 하지만 m1일 경우 cocoapods에서 문제가 생긴다... 그경우 1. finder/응용프로그램/유틸리티 에서 터미널을 복사한다 2. 복사한 터미널을 오른쪽 클릭한 후 정보 가져오기를 누른다. 3. Rosetta를 사용하여 열기를 클릭. 4. 터미널..

1.5/React Native 2021.03.12